한국전쟁(6·25전쟁)
한국군과 UN군이 인천상륙장전을 성공하자
전세가 불리해진 북한은 중국에 특별사절단을
보내어 구원병을 요청 했습니다.
이에 앞서 중국은 북한이 대전을 점령 할 무렵
이미 만주일대에 대규모의 병력 이동배치 한 후
군사 훈련을 실시 하고 있었습니다.
1950년 10월 4일 모택동은 한국전쟁
개입을 결정 했습니다.
한국군과 UN군이 평양을 탈환했던1950년10월19일
중공군은 한미 압록강을 건너기 시작 30개여사단 38만명의
대병력 10월과 11월 평안북도 산간지역 깊숙이 잠입 했습니다.
한국군과 UN군은 개입 사실을 모른체 북진
처음 맞이한 1950년 10~25~28 온정리 전투(운산전투)
비로소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개입한 사실을 알게 됩니다.
야간 전투에 유능한 중공군은 무기의 빈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꽹과리, 나팔, 피리를 불며 때를 지어 저돌적으로 돌진 해왔습니다.
이것이 중공군의 인해 전술입니다.
1950년 9~10 ~ 9~20 인천상륙작전 이후 10월 4일 개입을 결정
1950년 10월 19일을 시작으로
비밀리에 도강 예정된 작전 지구로 전진 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곳이 바로 1차 도강지역인 압록강변
집안, 장전, 단동 (3군데 입니다.) 그때당시 26만여명의 중공군
출병하기전 작전방안을 정한 모택동
첫전투에 필승을 다짐하는 것
즉, 첫번째 전투는 반드시 승리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중국군은 기습공격으로 UN군에게 일격을 가했습니다.
해병대에서는 맥아더 장군에게
북한군이 아닌 중국군과 싸우고 있다고 보고 했습니다.
그러나, 맥아더는 중국은 전쟁에 개입하지 않는다.
그들은 그저 의원군 라고 말했습니다.
동경에서는 정보참모가 전혀 중공군이 나온 것을 인정하지 안았습니다.
중공군이 나오면 원자탄이 떨어지니깐 중공군은 이남을 공격 안한다고
생각 한 것 입니다.
" 맥아더 장군도 중공군 참전을 미리 알지 못했다 "
CIA에서도 중국군개입을 비밀지원 정도로 분석
중국의 지원은 1949년부터 시작 되었습니다.
한국전쟁(6·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4시 40분 38선 상에서
대규모 대포공격을 시작으로 기습남침을 시작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이보다 빨리 중국의 지원이 시작 된 것입니다.
김일성의 요청에 따라 중국군내 조선국적 병사들을 북한으로 보낸 것입니다.
1950년 4월경에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무기를 전부 가지고
조선국적 인원은 전부 북한으로 이동 한 것입니다.
이때, 명칭은 '지원군' '조선인민군'의 군복으로 갈아 입었습니다.
맥아더에게 26만명의 병력이 발견되지 않으려면
많은 조치들이 필요 했던 것입니다.
지원군은 전부 조선인민군의 복장을 입었습니다.
간부들은 군모에 솜바지, 일반병사들은 그냥 군복을 입었습니다.
맥아더는 중국군 북한의 산간지역에 들어 간 후에도
중국군의 규모를 소수병력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 했습니다.
정규군에 최정예 부대임에도 지원군이라 불렸습니다.
모택동의 현명한 판단입니다.
중국이 자발적인 개입이 아니라는 인상을 주기 위해
지원군이라고 한 것입니다.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나선 것이지 중국의 공식적인 결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세계최고의 정보능력을 갖춘 미군이
중공군 참전에 미리 대비하지 못한 것은
세계전쟁사의 미스터리 입니다.
세계 최강의 미군과 맞서기에 그들의 무기는 보잘 것 없었지만
전쟁에 임하는 사기만큼은 드높았습니다.
1차 전투가 끝난 후에도 맥아더장군은 중국부대가
대규모로 진출 할 것이라고 예상 하지 못했습니다.
중국 서북지구 전쟁을 준비하다가 투입된 팽덕회
팽덕회의 거짓 후퇴에 미군은 계속 진격 하고
매복하고 있던 중국군이 격퇴 한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이 있다고 하지만
태평양 전쟁의 최고 사령관 맥아더장군
인천상륙작전으로 한국을 기적적으로 지금까지 있게 한 것은 분명 합니다.
그의 한국에 있어서의 전공을 기념하기 위하여 인천에 동상이 건립 되었습니다.
자료 출처 : MBC
'밀리터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특수부대 아이언맨 슈트(탈로스) 현실화되나? (2) | 2016.11.29 |
---|---|
세계전장을 누비는 한국 명품 무기 (0) | 2016.11.28 |
전쟁기념관으로 보는 한국형 소총 (0) | 2016.11.27 |
한국군과 전세계 전투식량들 (0) | 2016.11.27 |
종전후 고철이 된 군사장비 사진모음 (0) | 2016.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