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밀리터리 이야기55 전쟁의 숨은 영웅 의무병 의무병(醫務兵) 군대에서 위생과 응급처지, 간호에 관한 직무를 수행하는 병사 위생병(衛生兵)이나 간호병(看護兵)이라고 불립니다. 유사시 의사의 진찰을 받을 수 없는 전장에서 질병이나 부상에 노출된 병사를 간호합니다. 의무병은 전투병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함께 이동하기 위해 담당하는 전투부대와 같은 장소에 배치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의무병은 개인 화기를 휴대합니다. (이는 사실 개인의 목숨을 지키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제네바 조약으로 인하여 무기를 휴대하지 않았습니다. 무기를 휴대할경우 공격용으로 간주되어 제네바 조약에 보호 받을 수 없습니다. 의무병은 이렇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전쟁에서 전부병 만큼 꼭 필요한 의무병들 이였습니다. 총알과 칼로 치열한 싸움이 일어날 때 의무병들의 .. 2016. 12. 2. 명량대첩 승리의 주역 천자총통 화포 명량대첩이란? 1597년 음력 9월16일 아침 정유때 이순신이 명량(울돌목 : 전라남도 진도와 육지 사이의 해협)에서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으로 정의 합니다. 명량대첩의 비밀 13척이 어떻게 333척을 이겼나? 여기서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은 울돌목의 거칠고 빠른 물살을 이용한 이순신 장군의 책략 입니다. 하지만, 울돌목의 거칠고 빠른 물살을 전략적으로 사용함만은 아닙니다. 우리의 역사를 정확히 많은 이들이 알았으면 합니다. 이순신 장군은 명량대첩 이후 "실로 천행이다" 라는 말은 했습니다. 과연 천행 뿐이였을까요? 그 주에는 조선 수군이 승리 할 수 밖에 없는 "천자총포" 우리군의 화포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조선수군 전력의 전부인13척은 일본전함 333척을 맞서싸우기 위해 명량 해역.. 2016. 12. 1. 역사적인 우리군의 해외파병 국군 해외 파병은 헌법상 국회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파견 국가나 지역이 다르면 각각 별도의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우리군은 6.25전쟁 이후 군사력을 재정비하여 1964년 9월부터 전투부대 파병이 시작되었습니다. 최근 한국군은 해외 무기거래가의 폭증 뿐만 아니라 해외파병의 수출 규모가 크게 늘어 난 것으로 확인 됐습니다. 주한 미군이 한국 주둔으로 한국이 미국의 무기를 천문학적인 규모로 사들이고 있는 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우리 군은 유엔의 평화유지군 활동(PKO) 다국적군 참가, 국방교류협력 3가지의 목적으로 파병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가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입니다. 역사적인 우리군의 해외파병을 알아보겠습니다. 본 자료는 군합동참모본부 정보를 기반으로 포스팅 하.. 2016. 11. 30. 1차세계대전 당시 전투복과 장비들 제1차 세계대전은 20세기 당시 일어난 전쟁들 중 손에 꼽을 정도로 큰 규모로 치뤄진 전쟁이지만 2차대전의 큰 인기 떄문에 상대적으로 전투나 장비, 병사들에 관한 자료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1차대전에 관한 관심이 많은 리인엑터들과 역사학자들이 모여서 만든 사진들로 1차대전 유럽 전선에서 활약한 각국의 병사들이 휴대하고 있었던 장비들을 한곳에 모아놓은 사진 그리고 각 전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솜 전투 당시 독일군 이등병의 무장 상태, 1916년 1916년 서부 전선에서 벌어진 솜 전투는 전투 첫날 58,000여명에 달하는 영국군 사상자 (그때까지 하루 사상자 기록으로는 최고 기록이었으며 이 중 3분의 1이 전사자였다)로 인해 잘 알려진 전투입니다. 이 전투는 1916년 7월 1일 아라스와 알메르트.. 2016. 11. 3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