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ROK Armed Forces
세계 군사력 순위(GFP) 2016년 4월 기준 11위 입니다.
상비군 630,000명으로 육군, 공군, 해군으로 각 주력 무기들을 살펴 보겠습니다.
주력 총기
▶K-2 주력소총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
육해공군에 모두 보급되었으며, 예비군도 교체중입니다.
총신이 길어 명중률이 높고 살상력 역시 높습니다.
외국인들은 AK와 M-16의 장점을 합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K-1A 기관단총
한국 최초의 기간단총 K-1을 개량한 버전으로 최전방과 해병대, 특수부대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K-1에 비해 명중률과 반동이 개선되었으며, K-2와 M-16, M4A1과 같은 창탄과 같은 탄을 사용
작지만 파괴력은 엄청 납니다
기관단총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소총탄을 사용하는 K-1A는 기관단총이라 하면 안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K-3 기관총
분대자동화기겸 소대기관총으로 분류되는 K-3 기관총은 1991년부터 제식 채용
대체 기관총을 개발 계획 이였으나 2016년 무산
실제 탄 걸림과 작동불량의 기능고장이 잦습니다.
분당 700~900발로 K1A, K2의 탄창 사용가능
▶K-5권총
대한민국의 군수업체 S&T 모티브가 1984년부터 개발한 9mm 구경 자동권총
대한민국 국군의 제식 권총으로 전차병과 장교가 주로 사용합니다.
패스트액션방식 사용으로 장탄수는 최대 13발(9mm 나토탄 사용)
▶K-14저격소총
대한민국 최초의 저격소총으로 7.62mm탄을 사용하며 유효사거리는 약 800m
1MOA 가량의 명중률을 보유한 저격 소총입니다.
성능은 무난한 편으로 여태까지의 한국산 총과는 달리 시작부터 RIS를 전면적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특전사에 사용되며 탄창은 5발/10발 박스탄창 볼트액션 작동방식 채용
육군
▶K-1 전차
미군의 M1에이브람스와 유사한 외형의 한국육군의 본격적 전차산업을 알린 첫 전차
K-1은 105mm 강선포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한국군 최초의 기동사격이 가능한 전차
북한의 주력 T-62의 포탄은 방어가 가능합니다.
사거리나 정확도에서 북전차를 압도합니다.
차체가 작아서 170cm이상은 탑승이 불가한 단점이 있습니다.
▶K1A1(시제품K1E1)
K-1전차에서 주포를 120mm/44 구경장 활강포로 교체개량 버전 K1A1
북한이 T-72를 들여온다는 첩보로 만든 전차???
에어컨을 쓸수있게 되어 엄청 좋아함!!!
▶K1A2
K1A1의 노후화된 전자장비를 K2흑표 수준으로 끌어 올린 전차
대한민국 국군이 최초로 보유하게 된 3세대 전차이자 현 육군 기갑전력의 핵심
▶K-2흑표
대한민국 주력전차 K1전차의 후계 기종으로 개발
제식 채용전까지 시험기를 뜻하는 XK-2라고 불렸으며 양산이 시작되 K-2 주로 흑표, 영어권에서는 블랙판터로 불립니다.
55구경장 120mm 활강포에 관통력은 800mm가량입니다.
능동방어시스템을 도입 유압서스펜션으로 전차의 높이는 낮출수 있습니다.
미국의 M1과 독일읜 레오파르트와 3대전차로 불립니다.
▶K-21보병전투차량
대한민국 국군이 도입한 최신형이자 최초의 본격적인 IFV
주력 장갑차인 K200의 화력과 방호력 기동력 그리고 특히, 화력이 전차와의 합동작전에 적합하지 않아 소요 제기 되었습니다.
불곰사업때 BMP-3라는 불곰국 장갑차의 기술을 복붙한 장갑차
40mm 기관포와 현궁 대전차미사일 운용
▶K-9자주곡사포
전 세계 자주포등 중 최상위급!!!
공밀레의 레전설(포방국의 결정판!!)
52구경장 155곡사포사용, 15초 급속사격시 3발 발사 가능
사거리 증가탄(RAP+BB탄)의 개발로 인하여 53km의 사거리 확보로 억 소리날 스펙을 가진 K-9 자주곡사포
Time On Target 포탄을 각기 다른 고도로 시간차를 두어 발사해 똑 같은 시간에 목표 타격을 가능(즉 1대가 3~4대의 위력을 발휘)
K-10탄얀운반장갑차도 만들어 전투능력을 극대화 독일의 PzH2000(제식화된 자주포중 가장 뛰어난 성능으로 평가)과 라이벌로 보고 있습니다.
해군
▶세종대왕급 구축함
한국해군 구축함 사업의 결정판으로 한국해군 기동전단의 주력 전투함
현재 약 3척 운용중으로 SPY-1D 레이더사용(팔각형 모양의 판)
VLS(미사일 수직발사 시스템) 128기 장착
5인치 62구경장(127mm)의 함포등으로 무장
유지비가 어마어마 하다는 후문이…
배수량 7,650톤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한국 최초의 스텔스 구축함 현 6척 운용중
5인치 함포와 SM-2 대공미사일 장착으로 청해부대(소말리아 해역 상선보호)에서 활동중인
문무대왕함 포함, 배수량 4,500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설계와 생산 대한민국 최초의 개방방공함
북한을 상대로 한 연앤해군에 머물렀던 우리 해군이 항속거리와 전투능력을
확대하여 본격적인 대양해군으로 나아가는 계기를 마련
미사일 수직발사 시스템(VLS, Vertical Launching System)과 근접방어 무기체계(CIWS, Close-in Weapon System)
헬기탑재용 격납고와 갑판을 가준 구조는 국산 주력전투함으로서 처음입니다.
▶장보고급 잠수함
한국 해군 잠수함 전설의 시작
독일에서 1척, 한국에서 8척 건조
독일이 옛 실력을 되살려 내놓은 209급 잠수함의 한국판 버전으로 동급보다 한 단계 고성능인 209-1400급 길이를 단축해서 제작
모든 나라가 발견하지못한 결함을 한국 해군 인수단이 발견해서 소음방지를 위해 일부 개량을 하였습니다.
세계해군합동훈련 에서 미 항모전단을 가상격침 그후 림팩훈련서 외국해군이
Fuck 김치서브마린을 외치게 만든 잠수함
추가로 손원일급 잠수함등이 있습니다.
▶참수리급 / 백구급(애쉬빌급) 고속정
▲참수리급
서해 NLL방어전력의 주력으로 30년 가까이 쓴 선박으로 퇴역 진행 중입니다.
백구급 설계를 참고하여 한진중공업등에서 총 107척 가량을 건조
제1/2 연평해전을 모두 겪은 선박 기관포와 발칸포, M60/K6기관총등 다양한 무장탑재
▲애쉬빌급
▶고준봉급 / 천왕봉급 / 독도급 상륙함
▲천왕봉급 상륙함
운봉급과 고준봉급을 대체하기 위한 LPD상륙함 2016년까지 4척을 건조
LPD함형은 원양항해에 LST함형에 비해 유리한 함형이므로 해외파병에
소극적인 독도함이나 느린 속도로 빠른 파견이 불가능한 고준봉급 대신
해외파병 및 평화유지 작전에 있어서 큰 도움을이 기대됩니다.
▲독도급 상륙함
대한민국 유일한 강습상륙함으로 해군 기동전단의 기함
아시아 최대의 상륙함(일본의 휴가형보다 큽니다.)
현재 1척 운용중으로 독도함 고정운용 헬기가 아직 미배정(수리온 해병대용 헬기 17년 도입예정)
KAAV상륙 돌격 장갑차 기본 7대에서 ~ 최대 16대 운용가능
공군
▶KF-16전투기
보라매사업(전투기 도입사업)으로 들여온 전투기
현재 Block 52 KFP-2까지 포함하여 총 140대를 도입 현재 KF-16C 90대, KF-16D 44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대속력 마하 2이상으로 현재 개량사업 진행중
▶FA-50전투기
대한민국 공군의 초음속 다목적 경전투기 / 공격기 미국 록히드 마틴사와 KTX-2 사업을 통해 만든
초음속 훈련기인 T-50골들이글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북의 주력 MIG-29와는 상대가 안되는 능력으로 60여대 보유
▶F-15K전폭기
대한민국 주력 전폭기
공대공/공대지 임무를 모두 소화가능 동북아 공군전력중 탑에 꼽히며 한국공군은 60대 보유
▶F-35A스텔스전폭기
미국의 5세대 스텔스기
3차 FX사업으로 들여올 한국 공군 최초의 스텔기스
2017년 인도/배치 예정으로 현존 전투기중 가히 최강이라 불립니다.
북한의 스텔스기 AN-2와 비교과 안됩니다.
40+20대 도입 예정입니다.
▶조기경보통제기 / 정찰기
▲E-737(737-70IGW)
현재 4대 보유중인 E-737 미국 제조
▶헬리콥터
한국 공군의 헬리콥터는 훈련용 헬리콥터(Bell 412SP) 4대를 비롯하여 항공수색 및 구조용 헬리콥터를 주력으로 사용중입니다.
2차 불곰사업을 통해 들어온 러시아제 HH-32A헬릭스 7대 포함 43대 보유중입니다.
이상 간략하게 정리한 대한민국 국군의 기본 전력을 정리 했습니다.
'밀리터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미국 육군이 노력한 현대화 10가지 (0) | 2017.01.08 |
---|---|
러시아에서만 볼수 있는 군사훈련 (0) | 2017.01.04 |
전쟁의 방식을 바꾼 군사용 드론 (0) | 2016.12.30 |
스파이크를 능가할 한국의 대전차 미사일 현궁 (0) | 2016.12.27 |
한국 신형전투기 KF-X에 장착될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 (0) | 2016.12.26 |